19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12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되었으며, 11개 유럽 국가가 참가했다. 영국이 덴마크를 결승전에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덴마크가 은메달, 네덜란드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총 3개의 경기장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영국은 19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2년 축구 - 코파 델 레이 1912
FC 바르셀로나는 코파 델 레이 1912 결승전에서 힘나스티카 에스파뇰라를 꺾고 우승하여 통산 2번째 코파 델 레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준결승전과 결승전은 바르셀로나의 캄 데 라 인두스트리아에서 개최되었다. - 1912년 축구 - 1912 코파 델 레이 결승전
1912 코파 델 레이 결승전은 캄 데 라 인두스트리아에서 FC 바르셀로나와 마드리드 축구단이 맞붙어 FC 바르셀로나가 2-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한 경기로, 알리칸토와 비야노바가 득점하고 마누엘 아스쿠에가 주심을 맡았다. - 스웨덴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UEFA 유로 1992
1992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UEFA 유로 1992는 유고슬라비아 대신 출전한 덴마크의 우승이라는 이변과 함께 "유로" 명칭 사용 전 마지막 대회이자 선수 이름이 등번호 옆에 인쇄된 최초의 주요 축구 대회였다. - 스웨덴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UEFA 여자 유로 2013
2013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UEFA 여자 유로 대회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독일이 우승을 차지하고 로타 셸린이 득점왕에 오른 대회이다. - 191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1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191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18개국 17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그레코로만형 5개 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핀란드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191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12년 하계 올림픽 야구
1912년 하계 올림픽 야구는 미국 올림픽 육상 대표팀과 스웨덴 베스테로스 야구단의 단판 승부로 미국이 승리했지만, 시범 종목이었기에 메달은 수여되지 않았다.
19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요약 | |
국가 | 스웨덴 |
개최 기간 | 1912년 6월 29일 ~ 7월 4일 |
참가 팀 수 | 12 |
경기장 수 | 3 |
개최 도시 | 스톡홀름 |
우승 횟수 | 3 |
총 경기 수 | 17 |
총 득점 | 94 |
최고 득점자 | 고트프리트 푹스 (10골) |
이전 대회 | 1908 |
다음 대회 | 1920 |
시각 자료 | |
![]() |
2. 참가국
이번 대회에는 총 11개국이 출전하였으며, 모두 유럽 국가로 이루어졌다. 보헤미아는 1908년에 FIFA에서 제명되어 참가가 거부되었고, 벨기에는 선수 부족으로 인해 대회 2주 전에 기권하였다. 프랑스 역시 조추첨 3일 후에 기권하면서, 상대 팀이었던 노르웨이는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잉글랜드 축구 협회는 영국을 대표하는 남자 아마추어 축구 국가대표팀을 출전시켰다.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이번 대회를 위해 스톡홀름 일대의 3개 경기장이 동원되었다.
## 대진표
3. 경기장
스톡홀름 스톡홀름 올림픽 스타디움
수용규모: 33,000명로순다 스타디온 트라네베리 이드롯스플랏스
4. 경기 결과
영국, 헝가리, 러시아, 덴마크는 부전승으로 1라운드를 통과하였다. 6월 29일 트라네베르그스 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핀란드는 이탈리아를 연장전 끝에 3:2로 이겼다. 같은 날 스톡홀름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네덜란드가 스웨덴을 연장전 끝에 4:3으로 이겼고, 로순다 경기장에서는 오스트리아가 독일을 5:1로 이겼다.
6월 30일 트라네베르그스 경기장에서 열린 2라운드 경기에서 영국은 헝가리를 7:0으로, 핀란드는 러시아를 2:1로 이겼다. 같은 날 덴마크는 노르웨이를 7:0으로, 네덜란드는 오스트리아를 3:1로 이겼다.
7월 2일 스톡홀름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영국은 핀란드를 4:0으로, 덴마크는 네덜란드를 4:1로 이겼다.
7월 4일 스톡홀름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금메달 결정전에서 영국은 덴마크를 4:2로 이기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같은 날 로순다 경기장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네덜란드가 핀란드를 9:0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 1라운드
1912년 6월 29일, 1라운드 경기가 시작되었다. 핀란드와 이탈리아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핀란드가 3-2로 승리했다. 핀란드의 외흐만이 경기 시작 2분만에 골을 넣었고, E. 소이니오와 비베르크가 각각 40분과 105분에 골을 추가했다. 이탈리아는 본타디니와 사르디가 각각 10분과 25분에 골을 넣었다. 경기는 스톡홀름의 트라네베리스 이드롯스플랏스에서 열렸으며, 6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주심은 오스트리아의 휴고 마이슬이었다.
같은 날, 오스트리아는 로순다 스타디온에서 열린 독일과의 경기에서 5-1로 승리했다. 오스트리아의 메르츠는 75분과 81분에 두 골을 넣었고, 슈투트니카, 노이바우어, 치메라가 각각 58분, 62분, 89분에 골을 추가했다. 독일은 예거가 35분에 한 골을 넣었다. 이 경기에는 2,000명의 관중이 모였으며, 주심은 네덜란드의 휨버르트 빌링이었다.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스웨덴과 네덜란드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네덜란드가 4-3으로 승리했다. 네덜란드의 바우비는 28분과 52분에, 포스는 43분과 91분에 골을 넣었다. 스웨덴은 스웬손이 3분과 80분에, 뵈르예손이 62분에 페널티킥으로 골을 넣었다. 14,000명의 관중이 이 경기를 관람했으며, 주심은 영국의 와그스태프 시먼스였다.
한편, 노르웨이는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2-0 몰수승을 거두었다.
## 2라운드
1912년 6월 30일, 핀란드는 트라네베리스 이드롯스플랏스에서 열린 러시아와의 경기에서 비베르크와 외흐만의 득점에 힘입어 부투소프가 한 골을 만회한 러시아를 2-1로 이겼다. 같은 날 영국은 헝가리를 상대로 워든이 6골, 우드워드가 1골을 넣어 7-0 대승을 거두었다. 덴마크는 올센이 3골, S. 닐센이 2골, 볼파겐과 미델보에가 각각 1골씩을 기록하며 노르웨이를 7-0으로 완파했다. 네덜란드는 바우비, 텐카터, 포스의 연속 득점으로 뮐러가 한 골을 만회한 오스트리아를 3-1로 꺾었다.
## 준결승전
1912년 7월 2일,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첫 경기는 영국과 핀란드(당시 러시아의 자치령)의 경기로, 영국이 4-0으로 승리했다. 영국은 워든이 7분과 77분에 2골, 우드워드가 82분에 1골을 넣었고, 핀란드의 홀로파이넨이 2분에 자책골을 기록했다. 이 경기는 4,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스웨덴의 루벤 겔보르가 주심을 맡았다.
같은 날 19시에 열린 덴마크와 네덜란드의 경기에서는 덴마크가 4-1로 승리했다. 덴마크는 올센이 14분과 87분, 외르겐센이 7분, P. 닐센이 37분에 득점했고, 네덜란드는 H. 한센이 85분에 자책골을 기록했다. 6,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고, 헝가리의 에데 헤르초그가 주심을 맡았다.
7월 3일에는 트라네베르그 경기장에서 헝가리(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와 독일의 경기가 열려 헝가리가 3-1로 승리했다. 헝가리의 슐로세르는 3분, 39분, 82분에 3골을 넣어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독일은 푀르데러가 56분에 득점했다. 이 경기는 2,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네덜란드의 크리스티안 흐로토프가 주심을 맡았다.
같은 날 올림픽 경기장에서는 오스트리아(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와 이탈리아의 경기가 열렸고, 오스트리아가 5-1로 승리했다. 오스트리아는 뮐러가 30분, 그룬드발트가 40분과 89분, 후삭이 49분, 슈투드니츠카가 65분에 득점했고, 이탈리아는 베라르도가 81분에 득점했다. 3,5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고, 네덜란드의 헤르베르트 빌링이 주심을 맡았다.
## 동메달 결정전
1912년 7월 4일 15시, 스톡홀름 솔나에 있는 로순다에서 네덜란드와 핀란드의 동메달 결정전이 열렸다. 포스가 5골, 판데르슬라위스가 2골, 더흐로트가 2골을 넣어 네덜란드가 9-0으로 핀란드를 대파하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주심은 스웨덴의 페르 시외블롬이 맡았으며, 1,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https://www.fifa.com/tournaments/archive/mensolympic/stockholm1912/matches/round=197002/match=32270/index.html FIFA 리포트
## 결승전
1912년 하계 올림픽 하계 올림픽 축구 결승전은 7월 4일 스톡홀름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25,000명의 관중이 모인 가운데, 영국이 덴마크를 4-2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호어가 2골, 월든과 베리가 각각 1골씩을 넣어 영국이 승리했다. 덴마크는 올센이 2골을 넣었다.
4. 1. 대진표
영국, 헝가리, 러시아, 덴마크는 부전승으로 1라운드를 통과하였다. 6월 29일 트라네베르그스 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핀란드는 이탈리아를 연장전 끝에 3:2로 이겼다. 같은 날 스톡홀름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네덜란드가 스웨덴을 연장전 끝에 4:3으로 이겼고, 로순다 경기장에서는 오스트리아가 독일을 5:1로 이겼다.
6월 30일 트라네베르그스 경기장에서 열린 2라운드 경기에서 영국은 헝가리를 7:0으로, 핀란드는 러시아를 2:1로 이겼다. 같은 날 덴마크는 노르웨이를 7:0으로, 네덜란드는 오스트리아를 3:1로 이겼다.
7월 2일 스톡홀름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영국은 핀란드를 4:0으로, 덴마크는 네덜란드를 4:1로 이겼다.
7월 4일 스톡홀름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금메달 결정전에서 영국은 덴마크를 4:2로 이기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같은 날 로순다 경기장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네덜란드가 핀란드를 9:0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4. 2. 1라운드
1912년 6월 29일, 1라운드 경기가 시작되었다. 핀란드와 이탈리아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핀란드가 3-2로 승리했다. 핀란드의 외흐만이 경기 시작 2분만에 골을 넣었고, E. 소이니오와 비베르크가 각각 40분과 105분에 골을 추가했다. 이탈리아는 본타디니와 사르디가 각각 10분과 25분에 골을 넣었다. 경기는 스톡홀름의 트라네베리스 이드롯스플랏스에서 열렸으며, 6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주심은 오스트리아의 후고 마이슬이었다.
같은 날, 오스트리아는 로순다 스타디온에서 열린 독일과의 경기에서 5-1로 승리했다. 오스트리아의 메르츠는 75분과 81분에 두 골을 넣었고, 슈투트니카, 노이바우어, 치메라가 각각 58분, 62분, 89분에 골을 추가했다. 독일은 예거가 35분에 한 골을 넣었다. 이 경기에는 2,000명의 관중이 모였으며, 주심은 네덜란드의 휨버르트 빌링이었다.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스웨덴과 네덜란드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네덜란드가 4-3으로 승리했다. 네덜란드의 바우비는 28분과 52분에, 포스는 43분과 91분에 골을 넣었다. 스웨덴은 스웬손이 3분과 80분에, 뵈르예손이 62분에 페널티킥으로 골을 넣었다. 14,000명의 관중이 이 경기를 관람했으며, 주심은 영국의 와그스태프 시먼스였다.
한편, 노르웨이는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2-0 몰수승을 거두었다.
4. 3. 2라운드
1912년 6월 30일, 핀란드는 트라네베리스 이드롯스플랏스에서 열린 러시아와의 경기에서 비베르크와 외흐만의 득점에 힘입어 부투소프가 한 골을 만회한 러시아를 2-1로 이겼다. 같은 날 영국은 헝가리를 상대로 워든이 6골, 우드워드가 1골을 넣어 7-0 대승을 거두었다. 덴마크는 올센이 3골, S. 닐센이 2골, 볼파겐과 미델보에가 각각 1골씩을 기록하며 노르웨이를 7-0으로 완파했다. 네덜란드는 바우비, 텐카터, 포스의 연속 득점으로 뮐러가 한 골을 만회한 오스트리아를 3-1로 꺾었다.
4. 4. 준결승전
1912년 7월 2일,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첫 경기는 영국과 핀란드(당시 러시아의 자치령)의 경기로, 영국이 4-0으로 승리했다. 영국은 워든이 7분과 77분에 2골, 우드워드가 82분에 1골을 넣었고, 핀란드의 홀로파이넨이 2분에 자책골을 기록했다. 이 경기는 4,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스웨덴의 루벤 겔보르가 주심을 맡았다.같은 날 19시에 열린 덴마크와 네덜란드의 경기에서는 덴마크가 4-1로 승리했다. 덴마크는 올센이 14분과 87분, 외르겐센이 7분, P. 닐센이 37분에 득점했고, 네덜란드는 H. 한센이 85분에 자책골을 기록했다. 6,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고, 헝가리의 에데 헤르초그가 주심을 맡았다.
7월 3일에는 트라네베르그 경기장에서 헝가리(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와 독일의 경기가 열려 헝가리가 3-1로 승리했다. 헝가리의 슐로세르는 3분, 39분, 82분에 3골을 넣어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독일은 푀르데러가 56분에 득점했다. 이 경기는 2,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네덜란드의 크리스티안 흐로토프가 주심을 맡았다.
같은 날 올림픽 경기장에서는 오스트리아(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와 이탈리아의 경기가 열렸고, 오스트리아가 5-1로 승리했다. 오스트리아는 뮐러가 30분, 그룬드발트가 40분과 89분, 후삭이 49분, 슈투드니츠카가 65분에 득점했고, 이탈리아는 베라르도가 81분에 득점했다. 3,5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고, 네덜란드의 헤르베르트 빌링이 주심을 맡았다.
4. 5. 동메달 결정전
1912년 7월 4일 15시, 스톡홀름 솔나에 있는 로순다에서 네덜란드와 핀란드의 동메달 결정전이 열렸다. 포스가 5골, 판데르슬라위스가 2골, 더흐로트가 2골을 넣어 네덜란드가 9-0으로 핀란드를 대파하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주심은 스웨덴의 페르 시외블롬이 맡았으며, 1,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https://www.fifa.com/tournaments/archive/mensolympic/stockholm1912/matches/round=197002/match=32270/index.html FIFA 리포트
4. 6. 결승전
1912년 하계 올림픽 하계 올림픽 축구 결승전은 7월 4일 스톡홀름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25,000명의 관중이 모인 가운데, 영국이 덴마크를 4-2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호어가 2골, 월든과 베리가 각각 1골씩을 넣어 영국이 승리했다. 덴마크는 올센이 2골을 넣었다.5. 최종 순위
1912년 하계 올림픽 축구의 최종 순위는 위와 같다. 영국이 금메달, 덴마크가 은메달, 네덜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핀란드는 4위를 기록했다.
6. 메달리스트
국제올림픽위원회 데이터베이스상에서는 당시 메달리스트로 각 국가대표팀당 첫 경기에 나섰던 11명의 선수만 기재하고 있다.[11] 따라서 아래의 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소개되는 11명의 선수 외에도 다른 경기에서 처음 출전했던 선수들까지 기재해 두었다.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아서 베리 로널드 브레브너 토머스 번 조셉 다인스 에드워드 헤이니 고든 호어 아서 나이트 헨리 리틀워트 더글라스 맥위어터 아이번 샤프 해롤드 스탬퍼 해롤드 월든 비비언 우드워드 고든 라이트 | 파울 베르트 카를레스 부흐발드 얄마르 크리스토페르센 하랄드 한센 소푸스 한센 에밀 외르겐센 이바르 리케 닐스 미델보에 오스카르 닐센 포울 닐센 소푸스 닐센 안톤 올센 악셀 페테르센 악셀 투파손 빌헬름 볼프하겐 | 핏 바우만 요프 바우트미 니코 바우비 휘흐 더흐로트 복 더코르버르 니코 더볼프 콘스탄트 페이트 허 포르트헌스 유스트 회벌 디르크 로치 카사르 텐카터 얀 판브레다 콜프 얀 판데르슬라위스 얀 포스 다비트 베인벨트 |
7. 득점 선수
- 10골
- * 고트프리트 푸흐스(독일)
- 9골
- * 해럴드 월든 (영국)
- 8골
- * 얀 보스 (네덜란드)
- 7골
- * 안톤 올센 (덴마크)
- 5골
- * 프리츠 푀르데러 (독일)
- 4골
- * 임레 슐로세르 (헝가리)
- 3골
- * 레오폴트 그룬드발트 (오스트리아)
- * 니코 부비 (네덜란드)
- 2골
- * 로베르트 메르츠 (오스트리아)
- * 알로이스 뮐러 (오스트리아)
- * 소푸스 닐센 (덴마크)
- * 야를 외흐만 (핀란드)
- * 브로르 비베르그 (핀란드)
- * 고든 호어 (영국)
- * 비비안 우드워드 (영국)
- * 프란코 본타디니 (이탈리아)
- * 후흐 데 흐로트 (네덜란드)
- * 얀 판 데르 슬루이스 (네덜란드)
- * 이바르 스벤손 (스웨덴)
- 1골
- * 로베르트 치메라 (오스트리아)
- * 루드비히 후삭 (오스트리아)
- * 레오폴트 노이바우어 (오스트리아)
- * 얀 슈투드니카 (오스트리아)
- * 레오폴트 슈투드니카 (오스트리아)
- * 폴 닐센 (덴마크)
- * 에밀 요르겐센 (덴마크)
- * 닐스 미델보 (덴마크)
- * 빌헬름 볼프하겐 (덴마크)
- * 에이노 소이누 (핀란드)
- * 카를 부르거 (독일)
- * 아돌프 예거 (독일)
- * 에밀 오버레 (독일)
- * 아서 베리 (영국)
- * 미하이 파타키 (헝가리)
- * 샨도르 보드나르 (헝가리)
- * 펠리체 베라도 (이탈리아)
- * 엔리코 사르디 (이탈리아)
- * 카이사르 텐 카터 (네덜란드)
- * 바실리 부투소프 (러시아 제국)
- * 에릭 보뢰예손 (스웨덴)
- 자책골
- * 하랄드 한센 (덴마크, 네덜란드전)
- * 얄마리 홀로파이넨 (핀란드, 영국전)
참조
[1]
웹사이트
Football at the 1912 Stockholm Summer Games
https://web.archive.[...]
2018-09-30
[2]
뉴스
Britain's Olympic past
https://web.archive.[...]
The Football Association
2004-03-03
[3]
웹사이트
Games of the V. Olympiad
https://www.rsssf.or[...]
[4]
웹사이트
1912 Stockholm
https://web.archive.[...]
IFFHS
2011-05-09
[5]
웹사이트
Stockholm, 1912
https://www.fifa.com[...]
FIFA.com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medal database
http://www.olympic.o[...]
[7]
웹인용
Football at the 1912 Stockholm Summer Games
https://web.archive.[...]
2018-09-30
[8]
뉴스
Britain's Olympic past
https://web.archive.[...]
The Football Association
2004-03-03
[9]
웹사이트
1912 Stockholm
https://web.archive.[...]
IFFHS
2011-05-09
[10]
웹사이트
Stockholm, 1912
https://www.fifa.com[...]
FIFA.com
[11]
웹사이트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medal database
http://www.olymp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